Skip to content

북리더스 고객사에서 이용하고 계신 도서리스트 입니다.

앎의 나무

북리더스, 2012-05-22 08:18:46

조회 수
4010
isbn
9788986114973
저자
움베르또 마뚜라나,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최호영 역
출판사
갈무리
출판일
2007-05-05
정가
15,000
책소개
『앎의 나무』, 구성주의의 고전

칠레의 생물학자이자 철학자인 마뚜라나(Maturana)와 바렐라(Varela)가 함께 쓴 『앎의 나무』는 요즘 여러 학문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고전이라 할 수 있다. 구성주의란 지식 또는 진리가 객관적 실재(reality)의 반영이라기보다 인식자(knower)가 구성해낸 것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입장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인식 주체의 속성이 반영된 지식을 주관적이고 따라서 열등한 지식으로 보며 지식에서 주체의 속성을 최대한 제거해야만 비로소 ‘객관적 진리’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객관주의적 과학관(objectivist view of sciences)에 반대하는 구성주의자들은 이른바 ‘객관적 진리’의 주체적 성립조건에 대한 성찰이 포함되어야 비로소 온전한 지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그런 뜻에서 성찰적인 과학관(reflexive view of sciences)을 주창한다.

생물은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적 자율적 체계다!

인식자의 속성이란 관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이트는 인식자의 무의식적 조건을 문제 삼았으며 맑스는 인식자의 계급적 조건을,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적 조건을, 여성주의자들은 성적 조건을 문제 삼았다. 이와 달리 생물학자인 지은이들의 관심은 인식자의 생물학적 조건을 규명하는 데 있다.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체계’(autopoietic system)라고 본다. 자기생성체계는 자기 작업을 통해 자기를 정의하고 실현하므로 자율적인 체계다. 바렐라에 따르면 어떤 체계를 컴퓨터처럼 타율적 체계 또는 통제된 체계로 볼 때 체계와 상호작용하는 우리의 근본 범주는 ‘명령’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잘못’이다. 반면에 자율적 체계로 볼 때 근본 범주는 ‘대화’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이해의 단절’이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서는 생물을 환경에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매우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다. 그러나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생성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각 종마다 독특한 자기의 환경을 산출(bring forth)하며 이것이 바로 생물학적 인지활동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지은이들은 생명현상과 인지현상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를 최신 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개념들을 사용해 구체화하고 있다. 예컨대 생물의 ‘자연표류’(natural drift)를 통한 계통발생, 생물과 환경의 ‘공진화’(co-evolution), 생물과 신경계의 ‘작업적 폐쇄성’(operational closure), 생물들 사이의 ‘구조접속’(structural coupling)을 통한 사회적 현상의 출현, 재귀적 행동조정을 통한 언어의 출현 등등. 언뜻 보기에 생경한 개념들이지만, 이것들은 그저 새로운 단어가 아니라 ‘객관적’ 세계를 가정하는 고정관념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 사고의 새로운 차원과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런 모든 것들을 통해 지은이들이 말하고자 하는 근본명제는 인식 주체와 객체의 나뉠 수 없는 통일성이다. 지은이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목차
머리말

독일어판 옮긴이 머리말

1 앎을 알기
2 생명체의 조직
3 역사: 생식과 유전
4 ‘메타세포체’의 삶
5 생물의 자연표류
6 행동의 영역
7 신경계와 인식
8 사회적 현상
9 언어적 영역과 인간의 의식
10 앎의 나무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후기

옮긴이의 말

용어풀이

찾아보기

9788986114973.jpg

0 댓글

목록

Page 2 / 2
Status 섬네일 제목
  섬네일

일침: 달아난 마음을 되돌리는 고전의 바늘 끝

| 인문
  섬네일

어떻게 살 것인가

| 인문
  섬네일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 선한 정감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인문
  섬네일

최시형의 철학: 표현과 개벽

| 인문
  섬네일

소셜 브레인: 현대인의 사회적 자폐를 해부한다 뇌로 푸는 소통과 공감의 비밀

| 인문
  섬네일

가끔은 제정신: 우리는 늘 착각 속에 산다

| 인문
  섬네일

국가란 무엇인가

| 인문
  섬네일

한글의 탄생: 문자라는 기적

| 인문
  섬네일

이 세상 살지 말고 영원한 행복의 나라 가서 살자

| 인문
  섬네일

행복의 공식: 인생을 변화시키는 긍정의 심리학

| 인문
  섬네일

의식 혁명: 힘과 위력, 인간 행동의 숨은 결정자

| 인문
  섬네일

중용, 인간의 맛

| 인문
  섬네일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인도신화

| 인문
  섬네일

정의란 무엇인가

| 인문

Board Links

Page Navigation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138 애비뉴 2078호 / TEL : 031-919-8110, 070-7562-8670 / E-mail : bookrds@bookrds.com
북리더스. 사업자등록번호 : 128-92-95440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1-경기고양-2037호 / 개인정보책임자 : 정덕규
Copyright ⓒ 2011 bookrds.com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