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더스 고객사에서 이용하고 계신 도서리스트 입니다.
- 전체
- 문학
- aaa
- aaa
- aaa
- 일본소설
- 한국소설
- 영미소설
- 중국소설
- 기타언어소설
- 한국에세이
- 외국에세이
- 시
- 기타(평론/비평 등)
- 경제/경영 77
- 경제 17
- 경영 32
- 마케팅/세일즈 10
- 투자/재테크 11
- 기타(경제/경영) 7
- CEO/비즈니스맨
- 자기계발 105
- 성공/처세 70
- 능력계발 15
- 기타(자기계발) 20
- 인간관계
- 인문/역사/사회 101
- 인문 34
- 역사 26
- 인물 1
- 사회과학/정치 29
- 자연/과학 10
- 기타(인문/역사/인물) 1
- 기타 39
- 언어 1
- 가정/생활/요리 3
- 컴퓨터/인터넷 3
- 건강/취미/실용 5
- 만화
- 여행
- 예술/대중문화
- 정기간행물
- CD/DVD
- 육아/자녀교육 9
- 유아/아동/어린이 1
- 기타(기타) 17
- isbn
- 9788994159270
- 저자
- 권경우,김봉석,김소연,김종갑,반이정,이재원,이택광,정덕현,정여울,황진미 공저
- 출판사
- 텍스트
- 출판일
- 2012-02-10
- 정가
- 18,000
- 책소개
-
웃음은 결코 현실을 망각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토요일 저녁 6시 30분, 《무한도전》으로 웃음의 혁명을 논하다
《무한도전》은 숱한 TV 예능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다. 여타 예능 프로그램이 그렇듯이 《무한도전》 또한 많은 사람들의 열광과 박수를 받는 반면, 질타와 야유를 듣기도 한다. 물론 《무한도전》을 싫어하거나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그럼에도 《무한도전》은 무시하기 어려운 대한민국 대표 예능 프로그램이자 리얼 버라이어티 쇼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무한도전》은 한국 예능 프로그램 혹은 리얼 버라이어티계의 혁명, 웃음의 혁명을 일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대체 《무한도전》은 무엇일까.
《웃기는 레볼루션―무한도전에 대한 몇 가지 진지한 이야기들》은 《무한도전》의 내용과 《무한도전》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알아본다. 아울러 《무한도전》이 놓인 현실과 사회와 문화와 웃음의 맥락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여러 분야의 학자들과 평론가들 10명이 참여했다. 문화평론가이자 영미문화전공 교수인 이택광은 《무한도전》의 형식 논리를 살피며 한국 사회의 가치 체계를 분석했다. 영화평론가 김봉석은 《무한도전》이 선사하는 재미의 동력을 짚었다. 문화평론가 권경우는 《무한도전》에 나타난 한국 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을 살폈다. 대중문화평론가인 정덕현은 한국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의 계보를 좇아 《무한도전》을 분석했다. 영화평론가 황진미는 《무한도전》의 장수 비결을 점검하며 《무한도전》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이들에게 《무한도전》의 독법을 제시했다. 영문학과 교수이자 몸문화연구소 소장인 김종갑은 끊임없이 도전하고 고통을 감내하는 《무한도전》 출연진들의 육체를 통해 현대 우리 사회에서의 육체와 몸의 의미를 돌아봤다. 영상예술학을 전공한 김소연은 정신분석학 입장에서 《무한도전》을 분석했다. 미술평론가인 반이정은 《무한도전》에 담긴 준가족주의적 면모를 살피며 《무한도전》의 중독성의 근원을 좇았다. 문학평론가 정여울은 무규칙, 무질서, 무계획의 하모니라는 《무한도전》의 웃음 코드를 짚었다. 언어학자인 이재원은 《무한도전》의 ‘말놀이’, ‘별명 짓기 놀이’, ‘자막 놀이’, ‘상호 텍스트성 놀이’가 어떻게 구성되고 이해되는지를 살폈다. 끝으로 정덕현은 《무한도전》 김태호 PD를 인터뷰해 《무한도전》의 제작 과정과 그 속내를 들어봤다. ‘웃자’고 만든 프로그램에 ‘죽자’고 분석하며 달려드는 《웃기는 레볼루션》이 못마땅하게 여겨지는 독자들도 있으리라. 그러나 《무한도전》이 웃기는 대로 웃어 주는 것처럼, 《무한도전》에 해석으로 도전해 보는 것 또한 《무한도전》을 즐기는 방법일 터이다. 《무한도전》이 놓인 현실과 웃음의 맥락을 해석하다 보면 우리가 지금 어떤 세상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과 대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웃음과 해석, 웃음과 레볼루션의 기이한 공존과 공론의 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 목차
-
《무한도전》이란 무엇인가?(이택광 대중문화평론가, 경희대 교수)
내가 본 《무한도전》1 《무한도전》(김봉석 영화평론가)
정치적 무의식을 생산한다는 것―《무한도전》이 특별한 이유(권경우 문화평론가, 한예종 강사)
《무한도전》과 《슈퍼스타 K》, 그 두 개의 계보학(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내가 본 《무한도전》2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황진미 영화평론가)
과잉 실재로서 육체(김종갑 대중문화평론가)
윤리적으로 웃(기)기의 (불)가능성, 그리고 《무한도전》(김소연 대중문화평론가, 연세대 강사)
내가 본 《무한도전》3 한국적 예능 방송과 무한 성공(반이정 미술평론가)
무규칙, 무질서, 무계획의 하모니―《무한도전》 멤버들의 페르소나 표현법(정여울 문학평론가)
언어학으로 보는 《무한도전》(이재원 한국외대 교수)
인터뷰 김태호 PD “열린 텍스트 《무한도전》”(정덕현)
- 전체
- 문학
- aaa
- aaa
- aaa
- 일본소설
- 한국소설
- 영미소설
- 중국소설
- 기타언어소설
- 한국에세이
- 외국에세이
- 시
- 기타(평론/비평 등)
- 경제/경영 77
- 경제 17
- 경영 32
- 마케팅/세일즈 10
- 투자/재테크 11
- 기타(경제/경영) 7
- CEO/비즈니스맨
- 자기계발 105
- 성공/처세 70
- 능력계발 15
- 기타(자기계발) 20
- 인간관계
- 인문/역사/사회 101
- 인문 34
- 역사 26
- 인물 1
- 사회과학/정치 29
- 자연/과학 10
- 기타(인문/역사/인물) 1
- 기타 39
- 언어 1
- 가정/생활/요리 3
- 컴퓨터/인터넷 3
- 건강/취미/실용 5
- 만화
- 여행
- 예술/대중문화
- 정기간행물
- CD/DVD
- 육아/자녀교육 9
- 유아/아동/어린이 1
- 기타(기타) 17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