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북리더스 고객사에서 이용하고 계신 도서리스트 입니다.
isbn
9788965743347
저자
공병호 저
출판사
해냄
출판일
2012-03-25
정가
14,800
책소개
지혜를 향한 신념『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사랑의 본질『향연』까지
자기 삶의 중심을 세우고 성장해 가는 삶을 위해
2012년 자기계발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리더의 자리에 오르기 전에 너 자신을 알라.’ ‘에로스는 계책에 능하고 언제나 허기져 있다.’
‘한 인간의 내공은 나이에 비례하지 않는다.’
삶의 정곡을 찌르는 이 날카로운 이야기는 누가 한 말일까. 바로 2,500년 전의 위대한 두 철학자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말이다. 스마트폰만 쓰지 않았을 뿐, 인간 삶의 본질은 그때와 지금이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기에 그들의 지혜는 오늘날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미국 최초의 한국인 총장인 다트머스대학교의 김용 총장은 취임 후 다트머스 졸업생 중 가장 큰 부를 이룬 월스트리트의 유명 금융인을 만난다. 김 총장은 ‘오늘날 당신을 이런 자리에 오르게 한 힘은 무엇이냐, 당신과 같은 부와 성공과 행복을 갖춘 인재를 키우기 위해 무엇을 집중적으로 교육해야 하는가’라고 묻는다. 그 졸업생의 대답은 간단했다. 셰익스피어였다. 오늘의 그를 키운 것은 MBA도, 그 무엇도 아닌 셰익스피어와 같은 인문고전, 철학, 문학의 힘이었다.
깊은 삶의 지혜 대신 값싼 구호가 난무하는 시대. 동어반복의 지침과 팁 속에 가뜩이나 복잡하고 분주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삶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통찰과 시야를 키우기가 더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그만큼 좀더 본질적이고 깊이있는 통찰에 대한 목마름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민국 대표 자기계발전문가로 손꼽히는 공병호 박사는 50의 나이에, 고전 읽기의 긴 여행을 시작한다. <공병호의 고전강독 시리즈>는 책장 속에 꽂아두기만 한 채 읽어볼 시도조차 하지 못했던 동서양의 위대한 고전들을 강독하며 삶과 세상살이에 대한 생생한 지혜를 구하는 저자의 평생 프로젝트다. 특히 국내 최고의 자기계발, 경제경영 전문가로서 ‘실용 지식’의 선두에 서왔던 저자는 가장 근본적인 삶의 진수는 바로 ‘고전’에 있었음을 이야기하며 현대의 눈으로 고전을, 자기계발적 관점에서 철학, 문학, 역사서 등을 읽는 ‘지혜의 브릿지’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저자가 오십 세라는 반생(半生)을 지나며 외형적 성공과 실용적 지식만으로는 인간의 삶을 완성할 수 없다는 실존적 깨달음에 대한 실천법이기도 하다.
그 첫번째 작품은 서양 철학의 뿌리라 할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다.『공병호의 고전강독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 최고의 인생을 묻다』는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진정 옳은 길인가”라는 쉼없는 질문 앞에 단단한 해법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플라톤의 대화편 중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중심으로 하는 저서들과 소크라테스가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는 저서를 세밀히 읽어나간다.


진정한 지혜를 이야기하는 <소크라테스의 변론>, 죽음에 대한 생각을 듣는 <파이돈>, 옳고 그름에 대한 원칙 <크리톤>, 사랑의 본질을 이야기하는 <향연>, 탁월함과 배움에 고찰하는 <메논>, 훌륭한 리더(정치가)의 조건을 다룬 <알키비아데스 Ⅰ>까지 자기 정체성의 문제, 인간관계의 본질, 권력의 양면성, 사랑과 결혼의 문제, 돈과 욕망의 문제, 번영과 성공의 가치 등 개인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꼭 한 번 새겨보아야 할 주제들에 대한 통찰을 담았다.
특히 방대한 분량과 고전문이라는 형식적 특수성으로 인해 쉽사리 손을 내밀 수 없었던 고전의 특성을 감안하여 저자는 80/20법칙에 기초하여 집필을 시도했다. 즉 방대한 고전 속에 들어 있는 20퍼센트의 핵심 메시지가 책의 주요 내용을 차지한다는 가정 아래 주요 고전 원문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해설과 자신의 의견과 메시지를 적절하게 버무렸다. 특히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일갈(一喝)을 현대의 기업, 국가, 개인의 풍부한 사례 속에서 되새김으로써 고전의 높기만 한 진입장벽을 한껏 낮추어 자기 삶 속으로 녹여낼 수 있게 하였다.
여섯 권의 주요 고전들에 담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이야기 속에서 저자가 도출해 낸 결론은 바로 세상과 물질에 휘둘리지 말고 자기 자신의 영혼을 갈고닦으라는 것이다. 이러한 진정한 ‘앎’ 속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옳고 그름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 수 있을 때 우리는 자기 삶을 반석에 세울 수 있는, 어떠한 어려움에도 쉽게 굴하지 않을 수 있는 강한 기백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한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위대한 철학가들의 지혜는 더 이상 책장 속의 케케묵은 이야기가 아니라 삶의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우리 모두에게 가장 강력하고 깊은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특히 인문학적 상상력과 통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자기계발적 관점에서 다시 읽는 고전과 현대의 크로스오버는 신선한 충격을 선사할 것이다.
욕망을 부추기고 가치가 흔들리는 질주하는 세상에서 더더욱 중요해지는 것, 바로 자기 중심을 잡을 수 있는 단단한 철학이다. 스킬은 변한다. 그러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그 변치 않는 본질에 대한 믿음과 중심이야말로 고전이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선물이다.


지혜로운 삶을 소망하는 분들에게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일인가?’
어느 누구도 이런 질문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그런데 이런 질문이 젊은 날에만 떠오르다가 사라져버리는 것이 아니라 세월이 갈수록 점점 더 자주 떠오른다. 그래서 인간은 그냥 밥만으로 빵만으로 살 수 없는 존재인가 보다. 내가 고전 읽기를 시작하게 된 것은 이같은 질문에 대한 갈증 때문이다. 이 책을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나는 내적으로 많은 성장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렇다면 앞으로 계속될 작업들은 얼마나 많은 기회들을 줄 수 있을까? 생각만 해도 가슴 두근거리는 일이다. 이런 기쁨과 배움 그리고 성장의 기회에 여러분도 동행하길 소망한다.
_시작하는 글 중에서
목차
1장 지혜를 향한 신념 『소크라테스의 변론』
“진정 지혜로운 사람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진리란 타협할 수 있는 것인가
현명할수록 스스로 지혜롭지 못함을 안다
지혜로운 사람은 오직 올바르게 행동할 뿐이다
부와 명예를 좇기 전에 정신을 향상시켜라
‘등에’처럼 쓴소리하는 존재가 필요하다


정치는 아무나 할 수 없으며 아무나 해서도 안 된다
타인의 주목을 받는 사람은 스스로 명예를 지켜야 한다
대중의 시기와 질투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라
죽음을 피하는 것보다 불의를 피하는 것이 더 어렵다
올바른 삶은 자신을 향상시키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죽음은 영원한 삶을 향한 또 하나의 순례다


2장 올바른 삶을 위한 선택 『크리톤』
“그냥 살아선 안 된다,
정의롭게 살아야 한다”
당당한 삶을 위한 원칙을 지녔는가
한 인간의 내공은 나이에 비례하지 않는다
손익을 따지지 말고 옳고 그름을 따져라
다수와 배치되더라도 지켜야 할 원칙은 변함이 없다
그냥 살아선 안 된다, 정의롭게 살아야 한다
그래도 국법을 지켜야 한다



3장 탁월함에 대한 고찰 『메논』
“탁월함은 스스로 이루어내는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탁월함에 이를 수 있는가
탁월함이란 무엇인가
본질과 현상, 전체와 부분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비판과 반박으로 무지를 깨뜨려라
탐구와 배움은 아는 것을 회복하는 것이다
탁월함은 가르칠 수 없다, 스스로 이루는 것이다



4장 삶과 죽음에 관한 통찰 『파이돈』
“지혜로운 자여, 죽음을 두려워 말라”
올바른 생사관이란 무엇인가
자살은 인간이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죽음은 영혼이 육체로부터 해방되는 것이다
육체의 욕망에서 자유로워야 지혜에 다가설 수 있다
육체는 소멸하지만 영혼은 불멸하다
지혜로운 자여, 죽음을 두려워 말라
절제하고 정화하고 정진하라


5장 사랑의 본질을 이야기하다 『향연』
“사랑은 머무름이 아니라 나아감이다”
우리는 왜 사랑을 하는가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사랑한다
에로스의 아버지는 포로스(방책의 신) 어머니는 페니아(궁핍의 신)
사랑은 좋은 것을 영원히 소유하려는 욕구다 불사성을 향한 본능, 사랑은 출산으로 이어진다
사랑 안에서 우리는 영원히 살게 된다
권력과 명성을 통해서도 영원한 이름을 남길 수 있다 나의 영혼이 절제와 정의, 덕을 낳게 하라
‘육체의 자식’과 ‘영혼의 자식’을 구분하라
더 높이 더 깊이 진화하는 ‘사랑의 사다리’
사랑은 궁극적으로 진리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육체의 눈을 넘어 마음의 눈으로 보라


6장 훌륭한 리더의 조건 『알키비아데스 I』
“너 자신을 알라”
나는 누구인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자신을 아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지혜다
내가 모르는 것을 어찌 남에게 가르칠 수 없다
대중의 장단에 맞추다가는 내 인생을 살 수 없다
사람들을 이끌고 싶다면 자신부터 제대로 알아야 한다
영혼을 돌보고 생각의 일치를 이끌어내라
정치가는 훌륭함을 나눠주는 사람이다
훌륭함을 갖추기 전이라면 스스로 삼가라

9788965743347.jpg

0 댓글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138 애비뉴 2078호 / TEL : 031-919-8110, 070-7562-8670 / E-mail : bookrds@bookrds.com
북리더스. 사업자등록번호 : 128-92-95440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1-경기고양-2037호 / 개인정보책임자 : 정덕규
Copyright ⓒ 2011 bookrds.com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